일전의 포스팅에서 이미 올려놓았던 2개의 fdd 이미지를 이용해서 virtualbox에서 쉽게 인스톨이 가능하다. 문제는 network이 잡히지 않았다는 사실...
인터넷을 뒤진 결과 이미 network 설정을 해 놓은 virtualbox 하드 이미지를 찾아서 직접 인스톨한 것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결론은 일부 configuration file 들의 설정을 조금 수정해야 하고, 가장 중요한 점은 virtualbox 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는 network card 의 라이브러리가 있어야 한다는 사실.
다음은 이미 network 되도록 만들어 놓은 vbox 하드 이미지이다.
하지만 기본 하드 사이즈가 100MB 밖에 안되는 작은 가상머신이기에 자신이 직접 더 큰 하드에 인스톨하고 싶을 경우를 고려해서 직접 해 본 방법을 정리해 놓는다.
fdd 이미지로 virtual box에 새로 인스톨 할 경우 일단 시스템 타입을 linux - kernel 2.4 로 선택하고 시작한다.
앞의 포스팅(qemm 에 인스톨하는 방법)을 따라서 시스템 인스톨을 마친 후
/etc/rc 를 vi 등의 텍스트 에디터로 열고 #ifconfig eth0 ... 줄 다음에 다음의 두 줄을 첨가한다.
insmod pcnet32
udhcpc eth0
다음으로 /etc/resolv.conf 에서 기존에 있던 nameserver 줄들의 맨 앞에 # 로 comment 로 막아두고 다음의 한줄을 첨부한다.
nameserver 192.168.1.1
가장 중요한 network card 에 맞는 라이브러리 파일(pcnet32.o)을 위의 BL3-5vrtbx.zip 에 들어있는 시스템에서 옮겨와야 하는데 여기서 고민이 시작되었다. 일단 어떻게 꺼내오는가와 어떻게 새 시스템에 넣는가이다. busybox를 뒤져보니 ftpput 이라는 명령어가 있기는 한데 내가 직접 운영하는 적당한 ftp 서버도 없는 상황이고, email 등으로 보내기도 애매한 상태이다. 당근 web browser 도 없고. (네트워크는 되기는 하는데...)
여러가지고 고민하다가 fdd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사해서 옮기는 꽁수를 쓰기로 했다. 이미 가지고 있던 fdd 이미지 중 첫번째 장(ext2 타입)의 파일을 blank.img 로 복사해 놓고 위의 이미 네트워크 설정되어 있는 virtualbox VM 에 fdd 컨트롤러 추가하고 (기본으로 안달려있다) 여기에 blank.img 연결시킨 후 fdd 마운트해서 파일을 복사한다.
# mount /dev/fd0 /mnt
# cd /mnt
# rm *
# rm *.*
# cd /lib/modules/2.2.26/misc
# cp ./pcnet32.o /mnt
# halt
'Linux > Basic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35 qemu ping 문제 ? (0) | 2014.03.18 |
---|---|
BL35 Qemu Manager 7 에서 실행기 (0) | 2014.03.17 |
BL3.5 프로그래밍 툴 설치 (0) | 2012.11.11 |
BL3.5 Application 설치 (0) | 2012.11.11 |
BL3.5 VirtualBox 에 설치 (0) | 2012.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