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514

파이썬 - find() vs index()/count()

초보라서인지 햇갈리는 것... count(), index() 리스트, 하나의 스트링에 모두 적용 가능 리스트의 경우는 아이템 찾는 경우 사용 스트링에 대해 쓸 경우는 문자열 내의 패턴 찾는데 적용 가능 count()의 경우 찾은 갯수를 돌려주며 없으면 0 index()의 경우 찾을 경우에 한해 위치 되돌려주지만, 없으면 에러 find() 오로지 하나의 문자열 내에서의 패턴 찾을 때 사용 (리스트에 적용 못함) 없으면 -1, 있으면 찾은 위치 표시

파이썬 - An Introduction to Python Lists

http://effbot.org/zone/python-list.htm 정리가 잘 되어 있고 눈에 잘 들어옴 (내 스타일?) 기억해 둘 코드 out = map(function, L) 또는 out = [function(object) for object in L] 개인적으로는 첫번째가 더 편하게 느껴짐. 하지만 두번째의 경우 기존 function 호출에 추가 연산을 가할 수 있을 듯... (function(object) 전체가 하나의 새로운 object가 되게끔...) 예)

파이썬 - 코드 라인수 및 실행 속도 비교 (텍스트 데이터 처리)

파이썬 공부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벌써 그 간결함과 강력함(나의 사용 용도의 경우)에 푸욱 빠지고 있다. 자주 하는 일 중 하나가 대략 수십만 에서 수백만개 정도의 데이터 값 (x, y 좌표값, 한 라인에 두 숫자만 있음, 첫줄은 헤더) 을 읽고 처리하는 일들이 있다. 그동안은 BorlandC++ 5.5 커맨드라인 버전과EditPlus를 IDE 삼아서 프로그램을 짜서 써왔다. 숫자 데이터를 토큰별로 읽기 위해 loop 안에서 stream reading ( str; // X, Y double x, y; double xmin, xmax, ymin, ymax; fin >> x >> y; xmin = xmax = x; ymin = ymax = y; int row = 0; while(1) { fin >> x..

파이썬 vs 루비

얼마전 펄과 파이썬을 열심히 저울질하다 파이썬으로 가닥을 잡고 공부를 시작했다. 물론 펄이 아직까지도 관심이 가지만... (가장 큰 이유는 CPAN) 엊그제 우연히 까마귀님 블로그 들렸다가 파이썬에서 루비로 옮겨가신것 같아서 갑자기 루비에 관심이 생겼다. 아직 시작 단계이니 어떤것이 나을려나 비교해 보고 싶어졌다. 까마귀님 블로그에 덧글로 질문도 남겨놓았고 답변 기다리는 중이지만... 구글링하다 다음과 같은 비교를 보게 되었고 (주로 가독성에 대한 비교) 아직까지 각각의 언어의 능력 (다양한 확장 라이브러리 등)에 대해서는 모르겠지만 최근의 언어라면 왠만하면 다른 언어에서 지원하는 것 거의 지원할 거 같고... 일단 코딩에 대해서는 가독성에 대해 상당히 예민한 편이라 게시된 글이 큰 도움이 되었다. 예전..

파이썬 학습사이트

얼마전 자바를 공부한 후 주식 분석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았다. C/C++ 과는 달리 OS에 상관없이 돌아가며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수많은 라이브러리가 준비되어 있음에 감탄. 하지만 역시 코딩을 꽤 많이 해야 하는 인상이 강하던 터에 스크립트 언어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어 Perl과 Python을 저울질하게 되었다. 처음 공부의 시작은 Perl로 했으나 개인 취향이 Perl의 변수 두문자($,@,% 등) 사용에 너무도 적응하기 힘들어서 Python을 조금 들여다보니 인덴테이션 중심의 깔끔한 코딩과 역시 다양한 라이브러리, 그리고 몇줄 안되는 코딩으로 대단히 능률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내는 능력에 반하여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한다. 몇줄 안되는 코드로 자바로 장황하게 만들던 주식 분석 코드들이 대체되는..

IT/기타 2012.01.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