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 198

우분투뱅(?) - 8 : 메뉴, 단축키, 각종 설정

오픈박스의 메뉴 및 단축키 편집, 데스크탑 월페이퍼 변경, conky 설치 및 설정값 편집 등에 대해 다루어 본다. 먼저 오픈박스의 메뉴 편집을 위해서 앞서서 obmenu 를 설치한 바 있다. 터미널에서 obmenu 를 실행한 후 서브메뉴 및 아이템들을 쉽게 바꿀 수 있다. 바뀐 내용은 ~/.config/openbox/menu.xml 에 저장된다. 변경된 메뉴는 openbox 를 재시작 하면 사용할 수 있다. 데스크탑 월페이퍼의 경우 일단 쓸만한 그림을 인터넷에서 찾은 후 firefox 로 다운로드 받아서 ~/Pictures/Wallpaper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곳에 저장했다. 그리고 nitrogen을 실행하고 Preferences 버튼을 누른 후 나오는 팝업 윈도우에서 Add 버튼을 눌러서 ~/Pict..

Linux/Ubuntu Debian 2014.05.29

우분투뱅(?) - 7 : 각종 apps

다음으론 자주 쓸 만한 유용한 유틸리티들을 몇가지 설치하도록 한다. 먼저 그래픽 환경을 만든 이유 중 하나는 인터넷 시대에는 웹서핑을 하는 것이 큰 목적이 될 것이므로 웹브라우저가 있어야 할 것이고, 그것도 한글을 입출력이 되어야 하기에 한글폰트, 한글 입력기 등이 필요하다. 웹 서핑중에는 flash 가 들어간 사이트가 많이 있기에 이 부분을 웹브라우저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경우라면 chrome 브라우저 (또는 chromium) 을 쓸 수도 있지만 일단은 firefox 와 flash plugin을 인스톨해 본다. $ sudo apt-get install firefox flashplugin-nonfree 다음으로 한글 폰트 및 나비 입력기를 인스톨한다. $ sudo apt-get install tt..

Linux/Ubuntu Debian 2014.05.29

우분투뱅(?) - 6 : 데스크탑 appearance

tint2 설치에 이어서 GUI 모양을 조금 다듬어 보도록 한다. 우선 테마, 폰트, 아이콘, 툴바 스타일 등을 조절하는 것을 appearance 설정이라고 하는것 같은데 일단은 comta에서도 설명하고 있는 lxappearance 를 사용해 보자. 터미널 에뮬레이터에서 $ sudo apt-get install lxappearance 로 설치한다. 설치 후 $ lxappearance 로 실행해 본다. 탭 메뉴에서 여러가지를 실험해 보자. font antialiasing은 아무리 바꾸어도 저절로 full 로 되돌아간다. 나중에 알아봐야 할 부분... 다음으론 배경화면을 바꾸는 유틸리티로 nitrogen 을 설치한다. $ sudo apt-get install nitrogen$ nitrogen 그리고 실행해 ..

Linux/Ubuntu Debian 2014.05.29

우분투뱅(?) - 5 : tint2 패널 설치

앞에서 다양한 윈도우 매니저들을 조금씩 맛보았다. 결과적으로 인기있는 놈이 왜 인기있는지 써 보면 안다는 사실... 개인적으로는 가벼운 그래픽 환경으로 LXDE를 좋아한다. 설치도 쉽고 커스터마이즈도 매우 용이하다. 하지만 더 가벼운 놈으로 아예 앱조차도 필요한 것만 선택해서 설치하는 식의 최소한의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아주 구닥다리의 컴을 쓰고자 할 경우) 윈도우 매니저 선택에서부터 하나씩 하나씩 설치해 나가는 과정을 알아두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다시 오픈박스를 설치한 시점으로 돌아가서 시작하기로 한다. 우선 윈도우즈를 사용하면 하단의 긴 bar 형태의 공간이 있다. 이곳에는 시작 메뉴,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리스트, 시계/달력 및 각종 정보를 주는 아이콘 (한글 입..

Linux/Ubuntu Debian 2014.05.29

우분투뱅(?) - 4 : 다양한 window manager

지난번 글에서 그래픽 서버(xorg)와 openbox를 설치하는 것 까지 해 보았다. 가벼운 그래픽환경 구축을 위해서 고려해 볼 만한 윈도우 매니저로는 openbox 이외에도 awesome, blackbox, dwm, fluxbox, icewm, lxde-core, twm, wmii, xfce 같은 것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일부는 중첩 윈도우조차 구현되지 않고 거의 텍스트기반의 윈도우만 제공하는 정말로 심플한 것도 있다. lxde나 xfce는 lubuntu, xubuntu 등을 통해서 경험해 볼 수 있는 매우 인기있는 윈도우 매니저에 해당한다. openbox 역시 가벼운 데스크탑 환경을 구축하기에 꽤 괜찮은 윈도우 매니저로써 archbang, crunchbang 등의 디스트로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며..

Linux/Ubuntu Debian 2014.05.28

우분투뱅(?) - 3 : x-windows graphic server, openbox 설치

앞의 1장에서 우분투 서버 버전으로 최소설치를 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설치 후 재부팅을 하고 나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2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그인 화면을 처리하는 display manager는 없는 상태로 GUI를 설치한다. window manager로는 크런치뱅 등에서 사용하는 매우 가벼우면서도 커스터마이즈가 수월한 openbox 를 사용한다. 그래픽 서버를 설치하기 앞서서 일단 시스템을 업데이트 해 둔다. $ sudo apt-get update 다음의 명령어로 먼저 x-windows graphic server를 설치할 수 있다. $ sudo apt-get install xorg 여기서 $ sudo apt-get install xorg 대신에 $ sudo apt-..

Linux/Ubuntu Debian 2014.05.22

우분투뱅(?) - 2 : 리눅스에서의 GUI 구성 개념

우분투뱅(?) - 2 앞서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텍스트기반의 서버로 시작하고 GUI는 필요할 때만 startx 로 호출하도록 구축한다. 리눅스상에서의 GUI 구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여러가지 데스크탑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사이트에서 많이 배울 수 있었다. http://complete-concrete-concise.com/ubuntu-2/ubuntu-12-04-server/ubuntu-12-04-server-how-to-install-a-gui 정리하자면 리눅스의 GUI 는 graphics server, display manager, window manager 로 구성된다. Graphics server는 그래픽 모드 처리만을 커버해 주는 부분이다. 실질적인 윈도우 형태 등은 전혀 관리하지 않는다. Graph..

Linux/Ubuntu Debian 2014.05.20

우분투뱅(?) - 1 : ubuntu 12.04.4LTS 설치

개인적으로 리눅스를 버추얼박스상에서 주로 사용하기에 가벼운 데스크탑을 제공하는 디스트로를 선호한다. 한편 계열별로는 우분투를 주로 많이 사용해 보고 익숙해 졌기에 가급적이면 우분투 계열에 가벼운 데스크탑을 원한다. 이러한 부류로는 예전 버전 우분투의 경우 gnome 2 를 쓸때까지만도 다른 데스크탑은 큰 관심은 없었다. xubuntu와 lubuntu도 나쁘지는 않았지만 gnome 2가 좋았다. 헌데 유니티로 옮겨가고 나서는 lxde 쪽으로 많이 기울었고, xfce는 왠지 금방은 익숙해지지 않는 듯 하다가 최근 다시 사용해 보고는 역시 마음에 들기 시작했다. 한때는 crunchbang이 우분투를 기반으로 내 놓을때는 (버전 10) openbox 의 심플한 멋과 매우 적은 자원의 소모 역시 마음에 들었었다...

Linux/Ubuntu Debian 2014.05.20

xfce 데스크탑 글꼴 배경색 투명화

데스크탑의 커스터마이즈를 조금 하는 경우 XFCE 역시 상당히 괜찮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여전히 유니티는 싫고, KDE 역시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에서 XFCE와 LXDE 쪽으로 많이 기울고 있는 중... http://forum.xfce.org/viewtopic.php?id=2672 If you're using the icon view, and would like to change how the text looks,you have three things you can change: the opacity (transparency) of the rounded text background, the color of the rounded text background, and the color of the text..

Linux/Ubuntu Debian 2014.05.13

주 사용 리눅스 디스트로와 데스크탑

리눅스에는 수도 없이 많은 디스트로와 적어도 대여섯개 이상의 다양한 데스크탑이 있다. 여러가지 이유로 윈도우즈를 완전히 안쓰기도 뭐하고 리눅스도 써보고 싶은 입장에서 결과적으로는 윈도우즈 (7pro 64비트) 상에서 버추얼박스를 이용한 리눅스 가상머신을 돌리는 쪽으로 거의 정착하는 상황이다. 가상머신을 쓰다보니 다양한 OS를 다 사용해 볼 수 있기에 좋기는 하지만 그래도 주력으로 사용하는 놈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예전에 쓰던 윈도우즈 소프트웨어를 돌리기 위해서는 XP 가상머신을 쓴다는 식으로... 리눅스의 경우는 몇몇 메인 스트림에 있는 계열들(데비안-우분투, 레드햇-페도라 식으로)을 써 본 결과 최종적으로는 우분투나 그것에서 파생된 쪽이 본인에게 맞는 듯 하다. 데비안과도 많이 비교를 했었지..

Linux/Ubuntu Debian 2014.05.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