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Raspbian 한글 폰트 및 입력기 설치 한글 입력기 $ sudo apt-get install nabi im-config$ im-config hangul 로 설정 후 reboot 한글 폰트 설치 sudo apt-get install ttf-unfonts-core 아니면, 폰트파일 복사 후 폰트 캐쉬 갱신 $ cp FONTFILE /usr/src/fonts$ fc-cache -f -v Linux/Ubuntu Debian 2016.08.12
How to customise your Linux desktop: LXDE 자세한 내용은 이곳에... http://www.zdnet.com/article/how-to-customise-your-linux-desktop-lxde/ 가벼운 데스크탑 환경으로 LXDE 가 나에게 잘 맞는듯 하여 잘 써 왔다. 대부분의 customization 기능들 역시 왠만큼은 안다고 생각해 왔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것은 패널에 나오는 데스크탑 페이저의 엄청난 크기... 다른 아이콘 보다 훨 큰 사이즈로 두 페이지만 설정해 놓아도 꽤나 큰 영역을 차지하고 무척 비례가 안맞는 사이즈로 미학적인 관점에서 영 아니올시다였다. 아마도 그 작은 아이콘 내에 현재 페이지에 떠 있는 윈도우의 대략적 위치까지도 보여주려다 보니 그런 것 같다고 이해하긴 했지만... 헌데 막상 4페이지 정도까지 쓰려면 XFCE의 경.. Linux/Ubuntu Debian 2016.03.25
using compositing managers in lubuntu 15.10 역시 가벼운 리눅스 데스크탑으로는 LXDE 가 딱 내 취향이다. 적당한 compositing manager로 보기에도 그럴듯 하게 꾸밀만 하고... 몇가지 compositing manager를 lubuntu 15.10 virtualbox guest (vbox 4.3.12 + 5.0.3 guestadditions) 에서 테스트 해 본 결과를 정리해 본다. install compositing managers xcompmgr: sudo apt-get install xcompmgr compton: sudo apt-get install compton compiz: sudo apt-get install compiz compizconfig-settings-manager compiz-plugins or sudo apt.. Linux/Ubuntu Debian 2016.03.23
Q4OS 의 매력 보면 볼수록 깔끔하다. 개인적으로 리눅스 데스크탑 선택에서 신경을 많이 쓰는 부분들을 정리해 보았다. 1) 빠른 반응성 - 보통 버추얼박스 게스트로 많이 쓰는 편이어서 느려 터진것은 딱 질색이다. 2) 글꼴 - 전반적으로 통일감 있게 정리되어 있고, 가급적이면 너무 가로로 퍼져 보이는 글꼴이 기본인 경우는 싫다. 3) 기본 설치된 응용프로그램 - 사실 직접 다 제거/설치하면 되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원하는 것들 위주로 선정되어 있는 디스트로가 좋다. 예를 들면 브라우저는 크롬(크로미움이 아니라)이 들어 있으면 무척 좋아한다. 4) 가능하면 적은 메모리 소모 - 기본 부팅 후 너무 많은 메모리를 잡아 먹지 않기를 원한다. 가상머신으로 많이 쓰기 때문. 5) 기타 사용 편의 - 우분투 계열은 대충 명령어 넣어.. Linux/Ubuntu Debian 2016.03.22
lubuntu 15.10 한글 입력 설정 - virtualbox guest 의 경우 그냥 영문으로 다 인스톨 후 1) virtualbox guest additions 인스톨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linux-headers-`uname -r` - mount guest additions cd image 나의 경우 4.3.12 사용중이지만 5.0.3 용 이미지로 설치함. 최신 버전 리눅스와 옛 guest addition 궁합이 안맞는듯... - cd /media/userid/VBOX (tab key) 해서 디렉토리 이동 후 - sudo ./VBoxLinux (tab key) 해서 설치 2) lubuntu 의 LXDE는 nabi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패널로 들어간다. 따라서 다른 입력기는 별로 시도해 보지 않음.. Linux/Ubuntu Debian 2016.03.22
한글 코드 컨버전 iconv $ iconv -f euckr -t utf8 src_euckr.txt > dest_uft.txt $ iconv -f cp949 -t utf-8 orgfilename -o newfilename Linux/Ubuntu Debian 2016.03.18
Q4OS 리눅스 virtualbox에서 쓸만한 꽤 괜찮은 리눅스를 접하게 되었다. Q4OS. 데비안 기반에 Trinity Desktop (KDE slimdown 버전 같은 것) 으로 돌아가고, 기본적인 윈도우 UI 가 마치 Windows XP 와 매우 흡사하게 만들어 놓았다. 부팅 후 Classic 설정으로 인스톨 하고 (언어는 그냥 영문으로 다 진행했다) 나중에 다 인스톨 후 부팅하고 나면 버추얼박스의 경우 guestaddition 도 알아서 인스톨 해 주고, 처음 시작시 뜨는 welcome screen 윈도우를 통해 멀티미디어 사용시 기본으로 필요한 Proprietary Codecs 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그냥 버튼 한두번 누르는 것으로 끝). 한글 입력을 위해 터미널을 열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나비를 기본.. Linux/Ubuntu Debian 2016.02.14
리눅스 민트 17.3 (Cinnamon) 영문으로 인스톨 후 한글 입력기 설정 system settings - input method - ibus (add support for ibus) - input method > ibusdon't do install the optional components in terminal, $ apt install ibus-hangullogout / reloginon applet, keyboard icon will be shown, right click > preference > input method tabadd Korean - Hangul (in show all input methods) Linux/Ubuntu Debian 2016.02.02
우분투 로그인 display manager 바꾸기 http://www.webupd8.org/2011/07/how-to-switch-between-gdm-lightdm-or.html $ sudo dpkg-reconfigure gdm 만일 gdm 이 설치 안되어 있으면 먼저 설치 해 놓고 할것.이런식으로 바꿀 수 있는 display manager 들은 LightDM, MDM, KDM, Slim, GDM 등이 있다. Linux/Ubuntu Debian 2016.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