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13

Super Frog

왠지 Dosbox에서 키가 잘 안먹는 경우도 있는것 같다. 일단은 찾은 내용을 정리...키보드로 하려면 조이스틱은 빼 놓고 할 것. (연결되어 있으면 바로 이놈을 인식하는 듯) http://www.maydon.fsnet.co.uk/sfrog/play.html The Controls Superfrog can be played with a keyboard or joystick. Keyboard Controls Alt = JumpCtrl = ActionLeft = LeftRight = RightDown = Duck Joystick Controls Button 1 = JumpButton 2 = ActionJoystick = MovementJoystick Down = Duck

영어문법 will vs be going to

이메일을 쓰다가 갑자기 이 질문이 생각났다. 어느것이 맞는 것인지? 구글 덕분에 확실한 문법을 가르쳐 주는 사이트를 찾을 수 있었다. http://www.englishpage.com/verbpage/simplefuture.html 읽어보니 내가 그동안 알고있던 것에 약간의 혼동이 있다는... 이제는 조금 더 확실하게 구별해서 쓸 수 있다.영어 배우고 사용한지가 얼마나 되었는데 이런 기본조차 헷갈리고 있다는 사실에 급 실망... orz

Life/일기 2014.03.21

qemu networking

예전에 BL35 연습용으로 qemu 환경에서 가상머신을 구축했었다. 당시에는 ping 도 잘 되었는데 지금은 안된다. 왠지 이유는 모르겠고... 대충 정보를 검색하다 보니 다음과 같은 것이 나온다. 대략 해석하자면 기본적인 qemu network 설정은 SLiRP user network를 만들며 이놈은 ping 이 안된단다. 허허~ 옛날에는 어떻게 했던거야? http://wiki.qemu.org/Documentation/Networking 그 밖에 qemu networking 관련해서 다음의 페이지가 무척 잘 정리해 놓았다. http://www.h7.dion.ne.jp/~qemu-win/HowToNetwork-en.html

IT/가상머신 2014.03.19

virtualbox vs. qemu

웬만한 x86 기반에서 돌아가는 리눅스(또는 기타 OS)의 가상화용 툴로는 그냥 virtualbox가 훨씬 나은 선택인 듯 하다. qemu의 경우 qemumanager 사용으로 많이 편해지긴 했지만 x86 가상화가 아닌 cpu의 통째 emulation 이기 때문에 x86 이 아닌 cpu의 가상화 테스트 등을 위한 용도로는 몰라도 가상머신에서 뭔가를 실제로 하기 위한 용도로는 성능 및 여러 제약으로 나같은 초보에겐 사용하기 별로인 듯...

IT/가상머신 2014.03.19

BL35 qemu ping 문제 ?

오랫만에 qemu manager 7.0 및 virtualbox 를 사용해서 예전에 만들어 둔 BL35 하드 이미지를 마운트해서 장난을 치려 했다. vbox 의 경우는 잘만 된다. 헌데 qemu의 경우 마우스 문제부터 시작해서 ping 이 안되는 것 아닌가? 일단 마우스의 경우는 USB 사용 안함으로 하고, Xsetup 에 들어가서 시리얼 마우스가 아닌 PS/2 마우스로 하니 해결되었다. 헌데 ping www.yahoo.com 은 아무리 해도 안된다. 네트워크 설정이 문제가 있나 해서 별짓을 다 해 보고, 결국은 예전의 배치파일을 이용한 수동 시작까지 다 해봐도 안된다. 하루 왠종일 qemu 네트워킹에 대해 공부를 해 보아도 해결이 안되는데... 헌데 ping localhost 는 되는 것이다. ne200..

Linux/Basic Linux 2014.03.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