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514

VIrtualBox 내의 리눅스 웹서버 호스트(윈도우즈)에서 접근

오랫만에 예전에 만들어 놓은 우분투 서버 VBox Guest 내의 웹서버에 윈도우즈 7 호스트에서 접속하려니 안된다. 조금 헤매다가 답을 알았기에 다시한번 기록해 놓음 환경:host - windows 7 64bit, chrome browserguest - ubuntu server 12.04.1 APM virtualbox network setting ubuntu ifconfig 위에 보면 eth2 에 192.168.56.101 로 할당되어 있는 것이 보임. 이 주소를 사용하여 접근.

Linux/Ubuntu Debian 2014.12.18

Karateka (Apple II) - Rcomplete

게임 엔딩 하나 추가... 예전에는 실기에서 상태저장 같은 기능 없이도 끝냈었는데 이제는 무리인가보다. 역시 오래도 끝을 못보고 끌었던 게임이다. AppleWin 에서는 화질도 조금 마음이 안들고 해서 하다 그만두었다가 다시 처음부터 하는 것을 몇번이나 반복하던 터에 MESS 를 사용해서 마음에 드는 화질로 새로 시작해서 한시간도 안 걸려서 끝을 보고야 말았다. 물론 상태 저장 신공의 도움 없이는 못 했을 것 같다는...

Gradius Galaxies (GBA) - Rcomplete

수없는 상태저장-로드 를 반복하여 근 1년 이상 만에야 끝을 보았다. YouTube 등에서 long play 찾아보면 40여분만에도 끝을 내는 게임이었건만 자주 즐길 수도 없고 실력도 별로였기에 이렇게 오래 걸렸다. 사실 상태저장 해 놓은 것 잃어버리곤 해서 처음부터 다시 한 횟수만도 수십번일 듯 하다. 게다가 사용하는 에뮬레이터가 달라지면 예전 상태저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기에 또 처음부터... T_T 돌아보면 끝까지 가서 엔딩을 본 게임이 별로 많지 않다. 아마도 개인적인 성향과도 관련이 있는 것 같다.  학창 시절 영어 공부한다고 하면 맨날 참고서를 사서는 (성문 기본, 종합, 맨투맨....) 처음 몇 챕터만 보고 보고 또 보고 해서 책 위를 보면 그 부분만 색이 어둡게 변해 있곤 했다. 결국은 ..

Ubuntu 14.04 MATE

우분투에 MATE 데스크탑을 기본으로 한 버전이 있는 줄 몰랐었다. 인터넷 검색하다가 우연히 보게 되어 당장 다운로드 받아서 버추얼박스에 인스톨... 사실 LinuxMint MATE 같은 인터페이스인줄 알고 망설이다가 몇몇 스크린샷을 보고는 테스트해 보기로 결심했다. 아~ 본격적으로 리눅스 접하기 시작하던 시절(Ubuntu 8.04)의 추억의 Gnome2 를 완전히 재현한 듯 하다. 시작 후 메모리를 약 220MB 정도 잡아먹는 것이 LXDE나 OpenBox 같은 아주 가벼운 데스크탑보다 조금 무겁다는 점 빼고는 너무도 익숙한 인터페이스에 도로 우분투로 돌아올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민트의 인터페이스가 꽤 괜찮은 듯 하면서도 뭔지 모를 거부감이 조금 있었고, XFCE 역시 비슷한 느낌으로 잘 쓰지 않는 ..

Linux/Ubuntu Debian 2014.12.12

ubuntu light install + lxde + lightdm + compiz

가벼운 데스크탑으로 lxde 를 선택했고, 로그인 매니저로는 lightdm (상당히 깔끔해 보인다), 그리고 compiz 인스톨 $ sudo apt-get install compiz compizconfig-settings-manager compiz-plugins 이후 .config/lxsession/LXDE/autostart 안에 있던 compton 을 # 로 comment 처리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compiz --replace 한줄 추가 후 desktop session setting - advanced options 에서 window manager 를 openbox 에서 compiz로 변경. CCSM 에서 Effect 메뉴에 있는 wobbly window 활성화 및 window decoration e..

Linux/Ubuntu Debian 2014.11.25

나한테 잘 맞는 데스크탑 - LXDE

리눅스 사용의 경우 네이티브 모드보다는 버추얼박스 상에서 가상머신으로 돌리는 상황이 더 많은지라 가벼운 데스크탑을 선호하는 편이다. 네이티브 일 경우도 주력 PC 보다는 오래된 랩탑 등에서 돌리는 경우가 더 많기에 가벼운 놈을 더 원하게 되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간혹 무겁더라도 조금 더 화려하고 사용자 편의가 좋아 보이는 데스크탑도 써 보고 싶은지라 Gnome3, Unity, KDE 등도 여러번 시도해 보았지만 복잡하고 많은 기능을 다 배우는 것 조차 귀찮아서인지 결국은 가벼운 놈으로 돌아오곤 한다. Compiz wobbly window 까지만 LXDE에서 성공적으로 돌리면 더 할 나위 없겠건만 아직은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중... 그래도 compoton 등의 composite 유틸리티 덕에 터미널 투..

Linux/Other Distro 2014.11.25

Netflix 리눅스 지원 !

크롬 브라우저 (크로미움이 아니라...) 상에서는 된다. 윈도우즈를 꼭 써야 하는 두가지 이유 (iTune, Netflix) 중 하나가 드디어 사라졌다. 주로 즐기는 레트로 게임 에뮬레이션은 retroarch 의 경우 윈도우즈에서보다 리눅스에서 더 나은 듯 해서 레트로 게이밍을 위한 윈도우즈 필요성이 거의 사라진 상황이었음. 헌데 리눅스 (루분투 14.04) 네이티브로 돌린 경우는 잘 되는데 virtualbox 상의 게스트 OS 로 돌린 경우는 문제 발생. 3군데의 ununtu guest에서 모두 다 동일한 에러코드 M7063-1913. 이게 뭔지???

Linux/Ubuntu Debian 2014.11.18
728x90